kbsoo

WEF - Future of Jobs Report (2)

Jobs outlook

Global employment change by 2030

Total job growth and loss

응답자들의 일자리 성장 및 감소에 대한 기대치와 국제노동기구(ILO)가 수집한 글로벌 고용 데이터를 결합하여 보면, 2030년까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대체가 오늘날의 총 정규 일자리의 **22%**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함

거시적 추세로 인해 창출되는 새로운 일자리는 170,000,000자리(총 일자리의 14%)

하지만 현재 일자리 **92,000,000자리(총 일자리의 8%)**가 대체될 것임

-> 2030년까지 **78,000,000자리(총 일자리의 7%)**가 순증가할 것으로 전망

Fastest-growing and fastest-declining jobs, 2025-2030

Growing and declining jobs

2030년까지 비율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무는 AI 및 로봇 공학의 발전과 디지털 접근성 증가와 같은 기술 발전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음

가장 빠르게 성장할 직무 목록은 빅데이터 전문가, 핀테크 엔지니어, AI 및 머신러닝 전문가,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로 예상됨

Job growth and decline (%), 2025-2030

기술 트렌드는 보안 관리 전문가와 같은 보안 관련 역할의 성장에 일부 기여함

또한 지정학적 분열의 증가는 이 역할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침

-> 정보 보안 분석가 역시 가망있는 직업 15위 내에 위치함

자율주행 및 전기차 전문가, 환경 공학자, 재생 에너지 엔지니어 같은 녹색 에너지 전환 관련 역할 역시 15위 안에 위치함

이 직군들은 탄소 배출 저감과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과 투자 증가에 기인함

에너지 생성, 저장 및 분배 기술의 채택 확대와 다른 기술 트렌드도 추가적인 요인

반면!

캐셔, 티켓 판매원 … 사무 보조 역할과 행정 보조원, 임원 비서, 인쇄 작업자, 회계사 및 감사 역할이 가장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디지털 접근성 확대, 인공지능 및 정보 처리 기술, 로봇 및 자율 시스템이 이러한 감소의 원인임

고령화 및 노동 연령 인구의 감소와 느린 경제 성장도 사무 보조 역할의 감소에 기여함

Largest growing and declining jobs, 2025-2030

위 그래프는 절대 수치 기준으로 가장 큰 순 성장 및 감소 일자리 15개를 보여줌

절대 수치 기준으로 가장 큰 일자리 증가를 보이는 직종은 경제의 핵심을 이루는 역할에서 비롯됨

농업 종사자들이 5년동안 가장 크게 성장하는 직종 목록의 맨 위에 있으며, 2030년까지 3,500만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함

-> 탄소 배출 저감과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녹색 전환 추세에 힘입은 결과

또한 배달 기사, 건설 현장 근로자, 판매원, 식품 가공 근로자 등도 앞으로 5년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기술이 거의 모든 직종의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인구 통계 및 경제적 추세 역시 이들 직종의 순증가에 기여함

간병 관련 직종(간호사), 사회복지 및 상담 전문가, 개인 간병 도우미 등도 인구 고령화와 같은 인구 통계적 요인에 힘입어 앞으로 5년간 상당한 성장 예상

Job growth and decline (number of employees), 2025-2030

Expected impact of macrotrends on employment

Expected impact of macrotrends and technology trends on jobs, 2025-2030

The shifting human-machine frontier: automation versus augmentation, 2025-2030

Technological change

기술은 노동시장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접근성 확대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들기도 하고 줄이기도 할 것으로 보임

디지털 접근성은 약 1,9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한편, 900만개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됨

한편, 인공지능 및 정보 처리 기술은 1,1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내지만 900만개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으로 보임

로봇 및 자율 시스템은 순수하게 500만개의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인간과 기계의 경계 변화: 자동화 vs 증강화

인간, 기계, 알고리즘 간의 상호작용이 산업 전반의 직무 역할을 재정의하고 있음

자동화는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 기술이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주로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의 비율은 줄어들 것

2030년까지 주로 인간 / 주로 기술(기계와 알고리즘) / 인간과 기술이 함께 이렇게 3가지가 거의 동일하게 나눠질 것으로 예상

Expected shift in the human share of work task delivery in total output driven by automation versus augmentation, 2025-2030, global average

전 세계적으로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 비율이 줄어드는 주된 이유는 자동화의 증가 때문

2025-2030에는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 비율이 약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

이 감소의 원인 82%정도는 자동화의 발전, 19%는 인간과 기계의 협업 확대

Expected shift in the human share of work task delivery in total output driven by automation versus augmentation, 2025-2030, by industry

Expected shift in the human share of work task delivery in total output driven by automation versus augmentation, 2025-2030, by industry

이 분석은 2025-2030년에 인간, 기술 또는 둘의 협업으로 수행되는 전체 작업 비율만을 비교함 (실제로 처리되는 산출물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음)

-> 2030에는 인간과 기계 모두 훨씬 더 생산성이 높아져서 2025에 비해 같은 시간 또는 짧은 시간 내에 더 많거나 가치 있는 일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

-> 자동화로 인해 인간이 “할 일이 없어지는” 것에 대한 걱정은 ㄴㄴ

그러나 이러한 예상에서 더 복잡한 문제는 인간이 경제 가치 창출에 참여하는 비율임

만약 기업의 전체 산출물과 수입의 상당 부분이 첨단 기계와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진다면 인간이 어느정도 기여를 한 것일까?

그래서 인간+기계 협업(증강)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

기술은 인간의 일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개발될 수 있음

-> 2025년의 투자 결정과 정책 선택이 앞으로 몇 년 동안의 미래를 좌우하게 될 것

Impact of geoeconomic trends on off-shoring and re-shoring

Geoeconomic fragmentation

고용주들에게 세 가지 주요 지경학적 추세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질문함

-> 이러한 추세들이 순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함

지정학경제적으로 보면 모두 reshoring을 하려함

특히, 전 세계 무혁 및 투자 제한 강화로 예상하는 고용주들은 평균 고용주보다 50% 더 reshoring을 계획함

Green hiring rates

Green transition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약 5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기후 변화 완화는 약 3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생산, 저장 및 분배와 관련된 추세는 1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 환경 엔지니어와 재생 에너지 엔지니어가 빠르게 성장하는 15대 직종에 포함됨

지속 가능성 전문가와 재생 에너지 기술자와 같은 직종도 떡상중

최근 몇 년간 ‘녹색 채용’이 전체 노동시장 채용 추세보다 꾸준히 더 좋음

Demographic shifts

노동 연령 인구의 증가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순 일자리 창출에 있어 두 번째로 큰 요인(약 900만개의 추가 일자리)

노동 연령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는 전체적으로 +1,100만 일자리, -700만 일자리 -> 총 400만 개의 일자리가 추가될 것

노동 연령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는 간호사, 판매 및 접객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상점 판매원, 도매 및 제조 판매 대표, 식음료 서빙 근로자, 식품 가공 및 관련 직종 근로자의 성장에도 큰 영향

반면, 노동 연령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는 대학교 및 고등교육 교사와 중등교육 교사 등 교육 관련 직종의 성장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요인

Economic uncertainty

느린 경제 성장: +200만 일자리, -300만 일자리

생활비 상승 & 물가 상승: +400만 일자리, -300만 일자리

이 두 추세는 모두 건물 관리인, 청소원, 가정부와 같은 직종의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느린 경제 성장은 비즈니스 서비스 및 행정 관리자, 일반 및 운영 관리자, 판매 및 마케팅 전문가의 일자리 감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

그러나 느린 경제 성장은 사업 개발 전문가와 판매 대표와 같은 직종의 성장 요인으로도 작용할 것

생활비 상승은 AI, ML 전문가, 사업 개발 전문가, 공급망 및 물류 전문가와 같이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직종에 집중될 것

출처: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 - weforum 18-31p